체포조 지시 부인'을 다시
국회 측은 오늘 탄핵심판 변론에서, 윤 대통령 측의 '부정선거주장'과 '체포조 지시 부인'을 다시 한 번 반박했습니다.
먼저 체포조와 관련해 국회 측은, 12·3 비상계엄 때 여인형 방첩사령관이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이재명, 우원식, 김동현 판사를 포함해 15명을.
자신을 학교와 콜센터 등에서 비정규직으로 일하는 평범한 시민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12·3 비상계엄령은 '계몽령'"이라며 "부정선거와 민주당의 의회 폭거를 국민들에게 알리기 위해 자기 한 몸 희생하는 사람이야말로 국가의 리더 아니겠냐"고 말했다.
선관위) 서버 확보 임무를 맡았던 계엄사령부 수사2단 핵심 관계자들이 ‘내란 비선’으로 지목되는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부정선거자료를 돌려보며 선관위 출동을 준비한 것으로 16일 확인됐다.
정성욱 정보사 대령은 지난해 검찰 조사에서, 비상계엄 당일 오후.
신뢰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서버를 보자고 하니까 선관위가 법적 절차를 대면서 숨고 있다"며 "야당이부정선거관련해 청문회를 행안위에서 하자고 제안한 적 있다.
청문회를 열어서 논란의 종지부를 찍는 것은 어떤가"라고 말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은 법정에 출석하지 않고 돌아갔다.
ⓒ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대통령의 법률대리인단이 또 다시부정선거음모론으로 변론을 채웠다.
급기야 이들은 최후 변론에 쓸 수 있도록 발언 시간을 아끼긴커녕 초과해버렸다.
일치하는지 대조해 달라는 윤 대통령 측 검증 신청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윤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을 선포한 배경으로 중 하나로부정선거의혹을 들고 있다.
이미 탄핵심판에 관련 증인도 불렀다.
지난 11일 열린 윤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기일에 백종욱 전.
수원지검 장진영 부장검사는 14일 검찰 내부망 '이프로스'에 올린 글을 통해 이같이 적었습니다.
이 간부는 노씨로부터부정선거음모론을 다룬 책을 요약해 정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걸부정선거교육 자료로 쓰려고 했다는 겁니다.
분들이 상당히 계시다면 이건 국가적으로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에서부정선거의혹을 제한 데 대해 "대통령께서도 투표 과정에 대해 의문을 가질 정도라면 여기에 대해선 리뷰가 철저하게 필요하다"고 밝혔다.
불법 탄핵' 구호를 외치는 등 맞불 집회를 펼쳤다.
약 100명의 학생은 학생회관 앞에서 태극기와 성조기를 든 채 '부정선거out 국회해산' '부정선거검증하라' 손팻말을 흔들고 탄핵을 찬성하는 학생들과 몸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마이크를 잡은 서울대 교육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