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 중 유일
테슬라·삼성과 함께 ‘인테그레이터’ 선정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 중 유일 네이버가 글로벌 투자 은행 모건스탠리가 선정한 ‘로봇 분야 100대 핵심 기업’에 포함됐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삼성, 현대차, LG 등이 같은 부문에 선정됐으며,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으로는 네이버가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16일 모건스탠리의 '휴머노이드 100' 보고서에 따르면, 네이버는 테슬라, 애플, 아마존, 삼성, 현대차, LG, 소니 등과 더불어 주요 '휴머노이드 종합 기업'(인테그레이터)으로 분류됐다.
보고서는 휴머노이드 산업을 로봇 지능을 담당하는 인공지능(AI) 칩, 소프트웨어·반도체를 개발하는 '브레인', 하드웨어를.
AI 칩과 소프트웨어, 반도체를 개발하는 '브레인(Brain)' 부문, 하드웨어를 제작하는 '바디(Body)' 부문, 그리고 이 둘을 아우르는 '인테그레이터(Integrator)' 부문이다.
모건스탠리는 각 부문별로 선도 기업들을 선정했다.
특히 한국 기업들이 대거 포함돼 눈길을 끈다.
네이버,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전자.
구체적으로는 ‘휴머노이드 종합 기업(인테그레이터)’에 분류됐는데 해당 카테고리에는 네이버 외에도 테슬라, 애플, 아마존, 삼성, 현대차, LG, 소니, BYD, 알리바바 등이 있다.
모건스탠리는 휴머노이드 100 보고서를 통해 해당 산업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며, 하드웨어를 제작하는 ‘바디’, 지능을.
국내 소프트웨어 업체 중 유일하게 포함된 네이버는 테슬라, 애플, 아마존, 삼성, 현대차, LG, 소니 등과 함께 주요 ‘휴머노이드 종합 기업(인테그레이터)’으로 평가받았다.
모건스탠리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휴머노이드 산업을 ▲AI 칩·소프트웨어·반도체를 담당하는 ‘브레인’ ▲하드웨어 제작을.
16일 모건스탠리의 '휴머노이드 100' 보고서에 따르면, 네이버는 테슬라, 애플, 아마존, 삼성, 현대차, LG, 소니 등과 함께 주요 '휴머노이드 종합 기업'(인테그레이터)으로 분류됐다.
모건스탠리는 휴머노이드 산업을 로봇 지능을 담당하는 인공지능(AI) 칩, 소프트웨어·반도체를 개발하는 '브레인'과 하드웨어를.
16일 모건스탠리의 '휴머노이드 100' 보고서에 따르면, 네이버는 테슬라, 애플, 아마존, 삼성, 현대차, LG, 소니 등과 더불어 주요 '휴머노이드 종합 기업'(인테그레이터)으로 분류됐다.
보고서는 휴머노이드 산업을 로봇 지능을 담당하는 인공지능(AI) 칩, 소프트웨어·반도체를 개발하는 '브레인', 하드웨어를.
16일 모건스탠리의 '휴머노이드 100' 보고서에 따르면 네이버는 테슬라, 애플, 아마존, 삼성, 현대차, LG, 소니 등과 더불어 주요 '휴머노이드 종합 기업'(인테그레이터)으로 분류됐다.
국내 소프트웨어 업체로는 네이버가 유일하다.
네이버가 다양한 형태의 로봇을 실제 개발했을 뿐 아니라 거대언어모델.
16일 모건스탠리의 '휴머노이드 100' 보고서에 따르면, 네이버는 테슬라, 애플, 아마존, 삼성, 현대차, LG, 소니 등과 더불어 주요 '휴머노이드 종합 기업'(인테그레이터)으로 분류됐다.
보고서는 휴머노이드 산업을 로봇 지능을 담당하는 인공지능(AI) 칩, 소프트웨어·반도체를 개발하는 '브레인', 하드웨어를.
그는 서비스 로봇 RI(로봇인테그레이터) 기업의 역할로 수요자와 공급자의 관점을 통합하여 고도화된 시스템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함 대표는 국내 서빙로봇 고도화를 위한 당면 과제로 △서비스 로봇 코디네이터 양성 △소비자-수요자 인식 변화 △정부, 기관의 역할을.